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덤프버전 :

||



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제4회 장애인 아시안 게임
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2022 Asian Para Games
IV Asian Para Games
Hangzhou 2022
파일: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로고.svg
대회기간2023년 10월 22일 ~ 10월 28일[연기]
개최지중국/항저우
슬로건心相约,梦闪耀
Hearts Meet, Dreams Shine
마음이 만나 꿈이 빛나다
마스코트飞飞 (페이페이)
참가국
경기종목22개 종목, 616개 세부 종목
선수 선서
심판 선서
성화점화
개·폐회식장항저우 스포츠 파크 경기장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중국어]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영어]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위키백과 아이콘.svg

1. 개요
2. 상징
2.1. 마스코트
2.2. 슬로건
3. 종목
4. 참가국
5. 대한민국 선수단
6. 대회 진행
6.1. 개막식
6.2. 폐막식
6.3. 선수 목록
7. 메달 집계
8. 국내 중계 일정
9. 기타
10.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4번째로 개최한 장애인 아시안 게임으로 광저우에 이어서 2번째 장애인 아시안 게임 개최이다.


2. 상징[편집]



2.1. 마스코트[편집]


파일: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마스코트.svg
마스코트


2.2. 슬로건[편집]


파일: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슬로건.svg파일: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슬로건 화이트.svg
슬로건

心相约,梦闪耀

Hearts Meet, Dreams Shine

마음이 만나 꿈이 빛나다


3. 종목[편집]




4. 참가국[편집]




5. 대한민국 선수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대한민국#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대회 진행[편집]



6.1. 개막식[편집]


하이라이트 영상 다시보기 (유튜브)
[ KBS ]

해설: 김종현 아나운서 / 홍석만, 김권일 해설위원

풀영상은 하기 국내 중계 현황 내 링크 참조.

6.2. 폐막식[편집]




6.3. 선수 목록[편집]





7. 메달 집계[편집]


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10월 27일 기준 집계
순위국가메달합계
1
파일:중국 국기.svg

195159138492
2
파일:일본 국기.svg

394356138
3
파일:이란 국기.svg

393937115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8303795
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6213279
6
파일:인도 국기.svg

25294599
7
파일:태국 국기.svg

25224895
8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4232572
9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8122141
10
파일:홍콩 국기.svg

7152244
11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7151638
12
파일:필리핀 국기.svg

53513
13
파일:중화 타이베이 패럴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
441220
14
파일:요르단 국기.svg

4206
15
파일:이라크 국기.svg

35412
1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34310
17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3328
18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25310
192439
202237
2118615
221214
231102
241001
250101
260033
270022
280011
280011
280011
280011
280011
280011

8. 국내 중계 일정[편집]


대한민국에서는 KBS, MBC, SBS가 중계를 담당하며, 낮 또는 심야에 편성된 관계로 지연중계, 하이라이트 위주의 방송으로 구성된다.

10월 22일 기준 지상파 편성현황(대한장애인체육회)
일자방송채널편성시간분량방송내용
(SBS는 유료)
개막식
(10월 22일)
파일:KBS 1TV 로고.svg22:30~23:3060분개막식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MBC 로고.svg25:00~26:00[DELAY]60분개막식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SBS 로고.svg편성 없음
1일차
(10월 23일)
파일:KBS 1TV 로고.svg14:10~16:00110분휠체어농구, 육상, 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MBC 로고.svg12:25~13:5590분휠체어농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SBS 로고.svg12:50~14:0070분휠체어농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2일차
(10월 24일)
파일:KBS 1TV 로고.svg14:10~16:00110분수영, 배드민턴, 육상, 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MBC 로고.svg12:25~13:5590분수영, 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SBS 로고.svg24:30~25:30[DELAY]60분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3일차
(10월 25일)
파일:KBS 1TV 로고.svg15:00~16:0060분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KBS 2TV 로고.svg13:30~15:0090분수영, 육상, 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MBC 로고.svg12:25~13:5590분수영, 배드민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SBS 로고.svg12:50~14:0070분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4일차
(10월 26일)
파일:KBS 1TV 로고.svg14:40~16:0080분수영, 육상, 배드민턴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MBC 로고.svg11:00~12:0060분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SBS 로고.svg16:00~17:0060분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5일차
(10월 27일)
파일:KBS 1TV 로고.svg14:10~16:00110분휠체어농구, 수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MBC 로고.svg11:00~12:0060분수영, 휠체어농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SBS 로고.svg24:40~25:40[DELAY]60분탁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폐막식
(10월 28일)
파일:KBS 1TV 로고.svg24:15~25:15[DELAY]60분폐막식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MBC 로고.svg25:00~26:00[DELAY]60분폐막식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SBS 로고.svg편성 없음
편성표 기준 총 편성시간은 KBS 680분, MBC 510분, SBS 320분이다. SBS는 편성 시간이 가장 적은 것과 더불어 개막식과 폐막식 중계를 하지 않는다. 편성표 기준 총 중계시간은 KBS가 680분인 점을 감안한다면 MBC는 KBS의 80% 수준인 510분, SBS는 45% 정도인 320분이 책정되었기에 이번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 공영방송인 KBS와 MBC는 그래도 그나마 보편적 시청권 보호 관점에서 공익적인 행보를 보인 반면 상업 민영방송인 SBS는 농구(1경기)와 탁구(농구 1경기 외 중계 전체) 중계만 준비했다. 케이블 종합편성채널인 TV CHOSUN은 아예 중계에 참여하지 않았다.

인터넷 중계의 경우 항저우 아시안 게임 때와 마찬가지로 중계권을 일부 따지 못한 탓인지 KBS 온에어 / KBS+나 SBS 온에어[1]에서만 생방송을 볼 수 있으며, wavve를 비롯한 OTT 서비스에서는 볼 수 없다. 예외적으로 MBC의 경우 wavve에서 경기 영상이 그대로 송출되는 것으로 확인이 됐는데, MBC 온에어 뿐만 아니라 OTT에서도 장애인 아시안 게임 중계를 시청할 수 있는 걸로 보아 OTT 중계권까지 추가로 구입한 것으로 보인다.[2]

KBS는 개막식, 폐막식 및 육상, 휠체어 농구, 수영, 탁구, 배드민턴 종목을 중계했으며 김종현, 장웅, 김진웅, 최승돈 아나운서가 캐스터를, 홍석만, 김권일, 윤정문, 김병영 해설위원이 여러 경기의 중계를 맡았다.

MBC는 KBS와 마찬가지로 개막식, 폐막식 및 육상, 휠체어 농구, 수영, 탁구, 배드민턴 종목을 중계했으며 김민호, 이선영, 김준상, 정영한 아나운서가 캐스터를, 조창옥 해설위원이 개막식 중계, 김병우 해설위원이 휠체어 농구 중계, 이종덕 해설위원이 수영 중계, 박재형 해설위원이 탁구 중계, 김묘정 해설위원이 배드민턴 중계를 맡았다.

SBS는 1일차만 휠체어 농구를 맡고 나머지 일정은 전부 탁구 중계로 채웠으며 김현진, 김윤상, 정석문 아나운서가 캐스터를, 임찬규 해설위원이 휠체어 농구 해설위원, 최경식 / 정은창 해설위원이 탁구 해설위원을 맡았다.

9. 기타[편집]





10. 관련 문서[편집]





[연기] 본래는 2022년 10월 9일에 개막하여 2022년 10월 15일까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등으로 인해 이듬해로 연기되었다.[중국어] [영어] [DELAY] A B C D E 자정 이후 익일편성됐다.[1] 지역본부 및 민방 공식 홈페이지도 포함된다.[2] 아시안 게임 때는 SPOTV를 소유한 에이클라가 중계권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OTT는 SPOTV NOW / KBS+에서만 중계되었다. 한편 장애인 아시안 게임에서는 주관 중계권자가 명확히 언급되지 않았다.